애물단지로 불렸던 대형아파트가 1년가 18% 올랐다.
최근 다주택자들에 대한 세금 압박이 커지자 주택 수를 줄이고 주택 규모를 늘리는 서울 대형 아파트들이 강세를 누리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동안 대형 아파트는 급속도로 늘어나는 1~2인 가구 중심의 인구변화로 수요가 급격히 줄어들었다. 또한, 제대로 된 시세반영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환금성도 떨어져 애물단지로 평가받았다.
하지만, 각종 부동산 규제로 다주택자들의 매물이 늘어나고 높은 가치의 집 한 채를 사는 이른바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생기면서 대형 아파트가 어느새 애물단지에서 보물단지로 변모했다.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경제만랩이 KB부동산 리브온의 주택가격동향을 살펴본 결과, 지난해 5월 서울 대형 아파트(전용면적 135㎡이상)의 중위가격은 17억 7666만원 수준이었지만, 올해 1월 역대 처음으로 20억에 돌파했고, 5월에는 20억 9653만원으로 나타나 전년대비 18%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중형아파트(전용면적 62.8~95.9㎡)의 중위가격은 9억 9365만원에서 11억 6758만원으로 17.51% 올랐다. 이어 중소형 아파트(전용면적 40~62.8㎡)는 지난해 5월 중위가격이 6억 1692만원에서 7억 1892만원으로 16.53% 상승했고, 중대형아파트(전용면적 95.9~135㎡)는 11억 1333만원에서 12억 6412만원으로 13.54% 뛰었다.
반면, 서울 소형 아파트(전용면적 40㎡미만)의 경우 지난해 5월 3억 1926만원에서 올해 5월 3억 5586만원으로 11.46% 올라 규모별 아파트 중위가격에서 가장 낮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대형 아파트들의 가격 상승세는 실거래가에서도 확인됐다.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에 따르면 서울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타워팰리스1’ 전용 164㎡의 경우 지난해 5월에만 하더라도 23억 8000만원(40층)에 실거래가 이뤄졌지만, 올해 5월에는 29억 8000만원(43층)에 거래가 이뤄져 1년 만에 6억원 올랐고, 6월에는 31억 5000만원(41층)에 실거래가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 서초구 반포동에 위치한 ‘아크로리버파크’ 전용 164㎡는 올해 5월 46억 5000만원(11층)에 거래됐다. 지난해 5월 41억 8000만원(13층)에 거래된 것과 비교하면 4억 7000만원이나 상승한 금액이다.
서울 용산구 이촌동 ‘LG한강자이’ 전용 168㎡는 올해 5월 28억 1500만원(14층)에 거래됐다. 지난해 5월 24억원(15층)에 거래된 것과 비교하면 4억 1500만원 상승한 것이다.
이 같은 대형 아파트의 가격 상승세는 서울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 5월 전국 대형 아파트 매매중위가격은 8억 8853만원 수준이었지만, 올해 3월 역대 처음으로 10억원에 돌파했고, 지난 5월에는 10억 795만원으로 조사돼 1년간 13.44% 상승했다. 같은 기간 중형아파트와 소형아파트는 각각 12.12% 6.98%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시 2025 도시재생전략계획 변경안' 수정 가결 (0) | 2020.06.26 |
---|---|
이통3사 '이동통신 재난 로밍 시연 행사' 재난로밍 전용망 구축 (0) | 2020.06.25 |
오늘 6.25전쟁 70주년, UN 참전국을 잊지 맙시다 (0) | 2020.06.25 |
취준생 58.4% "올 하반기 취업할 자신 없다!" (0) | 2020.06.24 |
부동산 규제 강남3구 대형평형 비중 많지 않아...다주택자 '똘똘한 한채 사자!' (0) | 2020.06.24 |
자판기 천국 일본, 자판기 시대 끝나나 (0) | 2018.02.07 |
댓글 영역